본문 바로가기

회로/기초전기전자 실험

(3)
encoder decoder multiplexer demultiplexer 실험 1. Abstract본 실험은 디지털 회로의 핵심 요소인 Encoder, Decoder, Multiplexer(MUX), Demultiplexer(DEMUX)의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직접 구성하여 동작을 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to-2 인코더와 2-to-4 디코더 회로를 구성한 후, 출력 LED 상태를 관찰하여 논리 동작을 확인한다. 또한 4:1 멀티플렉서와 1:4 디멀티플렉서를 구성하여 제어 신호에 따른 입력 선택 및 출력 분배 과정을 실험하고, PSpice를 통해 시뮬레이션과 실제 회로를 비교한다. 2. Results 3. Conclusion and Discussion본 실험에서는 디지털 회로의 대표적인 조합 논리 소자인 인코더, 디코더, 멀티플렉서(MUX), 디멀티플렉서(..
🔬 De Morgan's Law & Karnaugh Map 실험(드모르간의 법칙 및 카르노 맵 실험) 1. Abstract본 실험의 목적은 드모르간의 법칙(De Morgan's Law)을 이용하여 복잡한 논리식을 간소화하고, 해당 논리식을 실제 회로로 구현한 뒤 입출력 파형 및 전달 지연 시간(propagation delay)을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복잡한 논리식을 간소화 하는 단계에서는 AND, OR, NOT 게이트로 구성된 원래 회로와 이를 드모르간의 법칙에 따라 변형한 회로 각각에 대해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입출력 파형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리표를 작성하였다. 논리식을 간소화하면 사용되는 논리 게이트 수가 줄어들어 전체 회로의 배선 길이와 복잡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로 내 기생 커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가 줄어들며, 이는 곧 게이트의 충방전 지연 감소..
저항 측정 실험 1. Abstract본 연구는 저항의 색 코드에 따른 이론값과 실제 측정값의 편차를 직접 측정을 통해 분석하고, 색 코드가 제공하는 허용 오차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색상과 크기의 저항을 대상으로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한 후, 오차 범위 값과 비교하여 구한 값이 허용 오차 내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대체적으로 저항 값이 큰 저항일수록 측정값과 이론값의 편차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저항 값의 물리적 특성과 측정 장비의 해상도 한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2. Results저항값 (A)측정값 (B)오차범위%(100*(B-A)/A)100 Ω104.4 Ω4.4%1k Ω994.8 Ω0.52%10k Ω10.035k Ω0.035%100k Ω100.03k Ω0.03% ..